여기서 터치다운은 어떻게 성립되나요?
4036
Updated at 2022-11-23 16:49:27

https://youtu.be/bFQ7pFjP0Ug
자이언츠의 레프트 태클 앤드류 토마스가 터치다운을 기록한 작년 시즌 경기입니다.
일반적으로 오라인맨은 패스를 받을 수 없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래도 가끔씩 엔드존에 가까울 때 덩치 큰 선수를 TE나 리시버 혹은 러닝백 개념으로 투입해서 sneak을 하거나 패스해서 터치다운을 하는데..
사진을 보자면...78번 토마스 선수는 센터 옆 옆 즉..흔히 LT 위치에서 스냅을 시작하는데..그러면 오라인으로 스냅을 한 것 아닌가요?
1. 그 외에 위치라면 이해가 갈 것 같습니다..TE나 리시버 개념으로...근데 저 위치는 일반적인 태클의 위치인데..어떻게 리시빙 권한이 있는건지 궁금하네요...
2. 스냅하는 위치가 그렇더라도 리시버로 일시(?) 등록된 상황이면 상관없는건지...즉 일반적으로 센터 양 옆으로 두 명씩 포진해도 오라인으로 인식되지 않을 수 있는건지...궁금하네요...
17
Comments
글쓰기 |
In football, the tackle-eligible play is a forward-pass play in which coaches will attempt to create mismatches against a defense by inserting an offensive tackle (who is not normally allowed more than five yards down field on a forward-pass play), into an offensive formation as an eligible receiver, usually as a tight end or as a fullback. This is done by changing the formation of the offensive line, via positioning two linemen (including the "catching tackle") on one side of the center and three linemen on the other.
을 보시면 될 것 같네요...
저 사진에서 센터 옆에 왼쪽에는 라인맨 2명, 오른쪽에 3명의 오펜시브 라인맨(70번대이고 라인맨으로 등록되어 있을 겁니다.,,, )을 두었으니 가능한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