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p
NBA-Talk
/ / /
Xpert

하든을 슈가로 분류하는 이유가 뭘까요

 
  4620
2023-09-22 13:23:21

사실 하든역시 전통적 슈가보다 듀얼가드, 메인핸들러라는게 맞겠지만

하든은 슈가로
커리나 어빙은 포가로 분류하는데요

어시스트를 10개씩 뿌리는데 왜 슈가로 주로 볼까요


25
Comments
2023-09-22 13:26:00

아무래도 오클이나 전성기 시절 휴스턴에서 주 포지션이 2번이었으니깐요. 뭐 어차피 듀얼가드니깐 포가로 보셔도 크게 의미는 없을 것 같습니다. 

Updated at 2023-09-22 13:27:10

제 생각에는 이미 1,2번의 전통적인 포지션 구분은 포워드의 그것보다 더 옅어졌다고 봅니다.

언급하신 하든만 해도 SG로 표기되는 선수임에도 웬만한 포인트가드들을 상회하는 시야와 피딩능력을 갖추고 있죠. 

그래서 표기만으로는 선수가 코트 위에서 수행하는 역할을 확실하게 구분짓지는 못한다고 생각하는 편입니다.

2023-09-22 13:26:46

휴스턴 부터는 포가로 표기되지 않나요?

2023-09-22 13:27:53

17시즌은 PG인데 18시즌부터는 백코트 파트너가 CP3와 러스여서 다시 SG로 표기되긴 했습니다

2023-09-22 14:19:22

맞아요 CP3와 러스랑 뛰면 2번이지만 어빙이나 맥스랑 뛰면 1번이죠. 하든이나 커리는 1, 2번 정의가 의미가 없는 것 같아요. 

2023-09-22 13:29:33

수비 매치업이 2번이라

2023-09-22 13:32:29

전성기를 2번으로 뛰었으니 그렇습니다

WR
2023-09-22 13:33:52

전성기라면 오히려 포가가 더 맞지않나요
폴 서브룩 오기전

2023-09-22 13:34:54

전성기면 오히려 18-20시즌이긴 합니다

Updated at 2023-09-22 13:36:42

폴 합류 첫시즌때 mvp를 받았습니다 그 다음시즌이 전설의 30득 밥먹듯이 하던 평득 36시즌
서브룩이랑 같이 뛸때 코비보다 공격력 낫다 소리 나왔고요

폴 오기전에도 리그 탑3가드였지만, 분명히 개인기량과 팀성적 모두 폴 합류 후부터라 봐야죠

WR
2023-09-22 13:37:25

글쿤요. 기억이 좀 잘못되었군요

2023-09-22 13:50:26

폴이랑 뛸때는 애매해도(둘다 포가에 가까워서), 서브룩이랑 뛸때는 사실상 서브룩이 슈팅가드, 하든 포인트가드에 가까웠죠.

2023-09-22 13:33:47

본인이 시즌초에
등록한 포지션대로
그 시즌 표기되는걸로 알아요

WR
2023-09-22 13:34:18

아... 그런것도 있나요?

2023-09-22 13:34:17

사실 요즘 몇몇 s급가드들 보면 다들 슛이 좋아서 포가냐 슈가냐 큰 의미가 있나 싶기도.. 파포 스포나 파포 센터는 아직은 좀 차이가 있다 느껴지지만요

2023-09-22 13:36:53

사이즈도 그렇고 초기에 2번을 보다보니 그런 이미지가 굳어진거 아닌가 싶습니다. 어시도 잘 뿌리지만, 하든하면 득점의 이미지도 강하구요

2023-09-22 13:41:29

좋아하는 선수다보니 하나의 댓글을 추가하자면 하든의 어시스트 능력도 분명 대단하지만, 그는 25 득점 10어시 하는 포인트가드의 느낌보단, 30득점 + 7~8 어시 느낌하는 슈팅가드의 시절이 강해서 그런거라고 느끼네요

WR
2023-09-22 13:52:47

근데 30득 7어시 정도는 뭔가 하든보다 커리 릴라드 어빙같은 선수들이 더 어울리는거 같고
하든은 10어시 언저리가 자연스러운 느낌이라서요.

2023-09-22 14:53:15

사실 커리와 하든은 커리어 전체로 보면
커리 24.6득 6.5어시
하든 24.5득 7.35어시로 거의 비슷하죠

2023-09-22 13:49:35

저는 개인적으론 하든이 1번 커리는 2번이 맞지 않나 싶습니다

2023-09-22 13:50:56

올타임으로 뽑자면 포가 라인에 들어가고 비교도 그쪽 포지션과 하는게 맞지 않나 싶어요.

Updated at 2023-09-22 14:01:28

보통 그 선수가 정점을 찍었을 시기의 포지션을 대표포지션으로 말하죠.

던컨도 PF, C로 거의 절반씩 뛰었지만 시엠과 파엠을 수상하고 발 건강이 괜찮아서 다이내믹했던 PF를 대표포지션으로 잡죠. 아이버슨도 SG로 생각하고요.

원래 하든같이 올타임급 선수들은 다재다능해서 포지션 파괴를 곧잘 일으키긴 하지만, 하든의 최고 정점은 역시 1번 동료를 둔 채로 마구 스코어링을 뽑아내면서 골스를 위협하던 시절 아니겠습니까? 그래서 SG로 분류되는 게 맞아보입니다. 

2023-09-22 14:11:10

하든이 참 다재다능해서 어디로 분류하는게 애매해보이긴하지만 휴스턴시절 모습때문에 2번으로 분류하는거 아닌가싶네요 큰의미는없어보입니다

WR
2023-09-22 14:14:54

네 사실 큰의미는 없는데
동시대의 다른 엘리트가드들(커리 릴라드 어빙등등) 보다 확실히 어시능력이 더 좋다고 느끼는데 그들은 포가로 보는게 조금더 자연스럽고 하든은 슈가이미지가 더 강한거 같아너요

2023-09-22 15:50:07

하든이 좀 특이한 케이스긴 합니다 nba역사에서 어시왕과 득점왕을 모두 보유한 7명중 한명이고
러스와 더불어 득점왕 어시왕 둘다 2개 이상 보유한 유이한 선수기도 할뿐더러
평득을 36득 34득 찍어봤으면서 평어시도 10개 넘게 찍어본 괴상한 케이스죠
그래서 구분이 더 힘들긴한데 저는 최전성기에 SG로 뛰어서 SG로 보긴합니다

글쓰기
검색 대상
띄어쓰기 시 조건









SERVER HEALTH CHECK: 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