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p
KBL
/ / /
Xpert

사전합의가 규정위반 꼼수로 인식되는 분위기네요?

 
1
  8692
Updated at 2023-05-26 16:02:43

최근 올라오는 글들을 보니 그런 뉘앙스가 느껴지는 내용이 적잖이 보이네요.

뭔가 이면계약이랑 비슷한 취급인데... 그게 맞는 건지 모르겠습니다.

KBL 규정을 몰라서 조심스럽긴 하지만, 계약이나 거래를 완성하기 전에 서로의 입장을 조율해보는 건 충분히 있을 수 있는 일 아닌가요?

물론 그러는 과정에서 정당하지 못한 꼼수나 탈법이 끼어들 여지가 없진 않지만, 그 부분은 세부적인 내용까지 봐야 알 수 있는 거죠. 그런 확인도 없이 '사전 합의? 너 꼼수!' 이렇게 단정짓는 건 너무 성급하지 않나 하는 의견입니다.

 

추가로 이번 보상선수지명 관련은...

KCC - 보상선수 포기하고 현금 받아가면 추가로 신인급 하나 얹어줌!

SK - 생각해보고 결정해도 됨?

KCC - 콜

로 합의된 상황이 아닐까 싶습니다. 

KCC는 미끼를 던졌고 SK는 양쪽 무게를 놓고 계속 고민하는 상황.

답답한 기자들이나 썰쟁이들 팬들의 의견이 왔다갔다하는...

 

반대로

KCC - 보상선수 포기하고 현금 받아가면 추가로 신인급 하나 얹어줌! 아니면 최준용 계약 안함!

SK - 현금+신인!

KCC - 콜!

-> 합의. 최준용 계약

SK - 맴이 바꼈음.

 

이런 쪽으로도 생각해봤는데, 아무래도 이건 현실성이 떨어진다고 봅니다.

당근에서 개인끼리의 소소한 거래도 합의 후 중간에 뒤엎는 건 양아치소리 듣기 딱 좋은 짓거리인데, 조직이 모기업의 이미지에도 악영향을 줄 수 있는 합의 불이행을 저질러 버린다?

실현되기 힘든 일 아닐까요? 

27
Comments
2023-05-26 16:02:48

이 글을 보니 합의자체도 썰쟁이들은 합의 있다고하고.. 기자들은 없었다고 하는데.. 썰쟁이들은 위에 적으신 정도의 합의가 있었다는 거고 기자들은 밑에 적으신 정도 합의는 없었다고 하는 걸수도 있겠네요.

2023-05-26 16:04:24

기자들도 따로 합의된 바 없다고 하는데, 너무 확인안된 썰에 집중하는것 같아요.

SK구단에서 합의할 이유가 하나도 없다고 생각해서

규정대로 보호선수 지정 -> 보상금 또는 보상선수 선택

이렇게 되겠죠

2023-05-26 16:16:03

프런트나 실무자가 아니라면 정확한 협상내용을 알수 없지만

저정도로 내용이 오고간다면 일개 팬인 저의 시선에는 fa가 아닌거같아요. fa로 선수 영입하면서 저렇게 구체적으로 내용이 오고가는지 진짜 궁금하네요. 

1
2023-05-26 16:18:10

저게 FA인가요
저렇게 사전합의가 룰처럼 인식되고 있다면 결국 선수의 정당한 권리 행사 가능성은 더 줄어드는거죠
다른 국내스포츠도 많이 봅니다만 저렇게 제도를 기형적으로 운영하고 있으니 말이 안 나오기가 힘들죠

Updated at 2023-05-26 16:25:01

최준용이 워낙 특이 케이스이긴 하죠. Sk는 최준용 사인앤트레이드로 다른팀들과 협상을 하고자 하는 상황에 kcc가 갑자기 영입을 해버렸으니..

Updated at 2023-05-26 16:36:21

fa기간에 싸인앤트레이드 형식으로 팀을 알아볼수도 있지만..또 다른팀의 fa 영입시도가 있으면 갈수도 있는 상황 아닌가요? 특별하다거나 특수한 상황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그야말로 fa기간에 생긴일이니까요.

 

물론 다른팀의 영입시도가 없을때 원소속구단과 싸인앤트레이드를 알아보고 있었다고 해도 싸인을 하거나 도장을 찍어서 진행된 상황이 아니라 상대팀과 조건을 알아보는 상황이었던거니까요. 그러다 kcc영입시도가 후에 일어난 일이라 kcc로 이적한거라 특이한 케이스는 아니라고 봐요.

Updated at 2023-05-30 18:24:17
2023-05-26 18:10:19

선수 입장에서 FA는 어느팀과도 협상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지는거죠.
구단 입장에서 그 선수와 협상 할지, 하지 않을지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원소속 구단과의 이후 보상 문제 협의도 한 과정 중의 하나고요.
사전합의가 선수의 권리 행사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라 생각합니다.

2023-05-26 16:26:38

규정이 엄연히 있는데 규정을 지키기에는 손해이니 뒤에서 이런저런 행위를 하는거 자체가 저는 문제인거같습니다.

'계약이나 거래를 완성하기 전에 서로의 입장을 조율해보는 건 충분히 있을 수 있는 일' 이라고 작성하셨지만 FA 계약의 대상자는 구단과 선수이지, 구단과 구단이 아니잖아요

2023-05-26 16:35:36

근데 왔다갔다 하는 돈이나 선수를 보면
구단이 빠질수가 있나요

2023-05-26 17:19:07

구단입장에서만보면 빠질수가 없겠죠

근데 FA라는게 선수의 '권리'인데 구단이 개입이 된다는게 문제라는거입니다.

사전 협의를하는 관행을 이어갈바에 구단들이 나서서 규정을 손보는게 맞는거같아요

Updated at 2023-05-26 17:23:02

저는 규정이 이상하다고 생각합니다.

근데 현재 규정에서는 구단끼리 대화가 없을
수 없어 보이네요.

2023-05-26 17:31:44

규정이 이상하다는 부분에 100% 동의합니다

야구 FA제도를 본땄다고 하는데 농구에 맞게 현실화가 필요해보입니다

1
Updated at 2023-05-26 16:43:49

저런 사전합의가 규정을 어긴 건 아니지 않나요? 보상제도 자체를 지적할순 있어도 현재 보상제도 아래서 Fa 계약의 대상자가 구단과 선수이긴 하지만 보상 문제가 얽혀 있으니 구단끼리의 의견 조율은 이루어질수 있다고 봅니다.

2023-05-26 17:30:59

우선 제가 언급한 규정 준수는 보상제도를 뜻했습니다.

보상 규정을 그냥 따르면 되는건데, 관련해서 협의를 별도로 다시하는게 맞는 부분은 아니라고 생각해요

애초에 보상규정으로 손해(?)는 보기 싫고, 선수는 영입하고 싶은 건데 애초에 영입할때 다 감안해야 되는 부분으로 보거든요  

WR
3
Updated at 2023-05-26 17:55:24

보상은 선수로 할 수도 있고, 돈으로 할 수도 있게 규정돼 있고, 받는 팀의 선택으로 결정됩니다.

강제할 수 있는 게 아닌 이상, 서로의 의견을 듣고 협의점을 찾는 게 규정위반이랄 수 있을까요?

FA영입이 무조건 +가 된다면 무시하고 들이박겠지만, 그게 아니라면 규정 내에서 최선의 방법을 찾는 게 당연하다고 생각합니다. 어차피 상대팀도 스스로에게 최선인 선택을 할 테니까요.

만약 규정을 위반하는 사항이 포함되어 있으면 조사해서 처벌할 문제고요.

1
2023-05-26 18:14:47

사전협의에 대한 규정은 없으니 규정위반이라곤 볼수없지만 보상규정대로 진행하기 싫은 꼼수같아요

1
2023-05-26 16:37:39

규정이 있지만 사전협의라는건 어디서나 있을 수 있습니다.

법조계에서도 사전형량 조정제도는 plea bargain을 합니다.

사전 협의는 서로 윈-윈하자는 의미이지 한 쪽만 당해라는 의미가 아니죠.

지금 사전 협의가 문제라고 하면 사전 협의를 하지 말라는 규정도 있어야 규정 위반이 되는 겁니다.

1
2023-05-26 16:44:15

저는 문제라고 보는 게 그러면 보호선수의 의미가 있을까요?

사전협의로 계약전에 말 맞추고 하는데
보호선수의 의미가 없죠

2023-05-26 17:22:52

사전협의가 강제가 아니니 할 수도 있고 안 할수도 있는 것이지요.

WR
1
2023-05-26 17:53:25

보호선수규정 까지 포함되서 서로 계산이 돌아가니까 당연히 의미가 있죠.

2023-05-26 16:54:14

스포츠에서 계약할때 저런게없을수가있을까요??

1
2023-05-26 18:03:57

사전합의가 꼼수라면..애초에 사인앤트레이드라는게 없어야 하지않을까요? 사트 또한 사전에 합의해서 계약후 트레이드하는방식인데요..

1
2023-05-26 19:54:55

싸트랑은 좀 다르다고 보는게
싸트는 애초에 선수 포함 양 구단이 합의 후 진행하는거라면, 이번 건의 경우는 정상적으로 구단선수간 계약를 했는데 영입 후에 왜 기존 보상규정 절차가 있음에도 별도로 구단들끼리 추가협의를 하냐 이거죠

1
2023-05-26 18:50:34

FA 과정에서 보상선수냐 보상금이냐에 대한 양 구단의 협의는 당연히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보상금 + 신인선수는 규정보다 더 많은 보상이기 때문에

실제로 이런 이야기가 오갔다면 문제가 될 것 같아요

그런데 웃긴 건 FA는 선수 대 구단의 계약이란 말이죠

트레이드도 아니고 축구처럼 선수이적도 아닌데 저런 이야기를 구단끼리 하고 이행이 된다?

이건 FA 선수 입장에서는 월권입니다.

WR
2023-05-26 19:03:41

+@는 매니아에서 주워들은 루머인데 근거가 있는지는 모르겠습니다. 만약 저게 된다면 후속트레이드 방식이 아닐까 싶네요.

FA 보상규정은... 저도 별로 좋아보이지는 않는데, 한편으론 워낙 인재풀이 얕은 바닥이다 보니 어쩔 수 없는 측면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2023-05-26 23:26:51

두번째 케이스처럼 합의해줄 이유가 있을까요?

글쓰기
검색 대상
띄어쓰기 시 조건









SERVER HEALTH CHECK: OK